신한우천국
페이지 정보
본문
명품한우 맛집신한우시대 #shorts
#명품꽃갈비살#녹는다녹아#된찌도맛나
#소면으로마무리#입이즐겁네#다욧은낼부터
#월급날은한우쥬#포항맛집#한우맛집#shorts
[시사기획 창] 분단을 건너는 아이들 / KBS 2021.03.28.
목숨을 걸고 남한으로 온 탈북민은 현재까지 약 3만 3천여 명. 그런데 통일부 조사에 따르면 이들 탈북민 중에 극단적 선택의 충동을 경험한 사람은 10명 중 8명에 달한다. 탈북 청소년들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입국한 연령대와 재북 시절 학력, 부모 동반 여부 등에 따라 경험이나 욕구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이다.
'미리 온 통일'이라고 여겨지는 탈북 청소년들, 그들의 감춰졌던 삶을 취재진이 어렵게 설득해 카메라에 담았다. 이들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함께 살아가야 할 통일 공동체를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방법을 모색했다.
■ 사라진 탈북 청소년들…누구도 보듬지 못했다
취재진은 우선, 부모 등 직계가족이 없이 남한으로 온 '무연고 탈북 청소년'의 삶에 집중했다. 그 과정에서 지난 2015년 6월 이른바 '대기 귀순'으로 화제가 됐던 19살 북한 병사, 이국철(가명)의 삶을 추적했다. 하나원에서 나온 뒤 국내와 해외를 오갔던 이국철. 절도 등 각종 범죄를 저지르고 끝내 극단적인 선택을 한 이 소년의 삶은 과연 어디서부터 잘못됐을까.
18년 전, 남한에 온 지 1년 반 만에 '자살 같은 죽음'을 맞이한 꽃제비 소년 최현의 안타까운 삶도 재구성했다. 사촌 형제와 함께 남한에 왔음에도 부산과 제주로 따로따로 배치한 무심한 정책 집행과, 19살 소년을 북쪽에서의 최종 학력에 맞춰 초등학교 6학년으로 편입하라고 하는 기계적 학벌주의 등에 지쳐 생을 마감한 현이의 이야기는 단지 과거의 이야기만은 아니다.
현이와 같이 꽃제비 생활을 하다 먼저 탈북한 엄마를 만나기 위해 17살에 남한으로 온 32살 홍성진 씨. 하지만 어머니는 탈북 과정에서 만난 중국인 남편과 재혼해 새로운 가정을 꾸린 상태였다. 중학교 졸업 후 첫 일자리였던 주유소에서 유혹이 시작됐고, 20대 꽃다운 청춘을 교도소에서 보낼 수밖에 없었던 그가 탈북 청소년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고 한다.
■ 제3국 출생자 늘어나는데…"우리 한국인 맞습니까"
탈북 청소년들은 북한 출생만 있는 건 아니다. 전문가들은 최근 10년 사이 중국 등 제3국에서 출생한 탈북 청소년의 증가 추세가 심상치 않다고 말한다. 실제로 국내 초·중·고등학교에 다니는 탈북 청소년 중 62.8%가 중국 등 제3국에서 왔다.
주로 탈북 여성과 중국 남성 사이에서 태어난 이들은 한국 입국 후 국적을 취득한다. 하지만 탈북민 엄마의 북송과 한국 입국으로 인한 이별 경험, 한국어 미숙, 정체성 문제 등으로 국내 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호소한다. 상황이 이렇지만, 이들은 정부로부터 북한 출생 탈북 청소년과 같은 보호와 지원을 받지 못한다. 현행법상 '탈북민'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기 때문이다.
정부의 공식 통계조차 없는 이들의 이야기를 들어보기 위해 취재진은 탈북민 엄마와 중국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나 15살에 한국으로 온 동빈이를 통해 제3국 탈북 청소년이 일반적으로 겪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들어봤다.
탈북민 엄마와의 단란한 한국 생활을 꿈꾸며 입국했지만 2개월 만에 고아가 되어버린 유림이의 한국 정착 이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149327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Lee와당 : "분단이 만들어 낸 잘못을 현이 같은 아이들이 대신 그 죄를 받은 게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이 대사에서 울컥했습니다. 너무나 옳고 너무나 슬픈 말씀입니다. 힘든 일상을 보내고 있는 새터민 아이들에게 도움이 될 방법이 없을까요.
Ahn Sung Sook : 제발 이런가슴아픈 일 다시는 일어나지않기를 기원합니다
우리함께 모든일 모든면에서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숨쉬고 행동으로 옮겨 꼭 성공하세요
짝물 : 탈북민의 이후 삶에 대해 미처 몰랐던 점을 알려주는 좋은 다큐네요. 우리나라로 건너온 동포인만큼, 적응할 수 있게 우리가 지금보다 더 노력해야할 점이 보입니다
너에게 난 : 우리 국민들도 탈북민을 배척해선 안 되겠지만 탈북민도 처음 접한 민주주의 나라에 살아가려면 혼돈과 괴리감으로 힘들어도 목숨걸고 온 만큼 스스로도 마음을 강하게 가지고 살아야 한다 남한 생활에 적응하려고 노력 하지 않으면 이방인으로 살아갈수 밖에 없다
유기쁨 : 안타깝고~~
가슴 아프다~~
양 많다고 3명이서 2인분 시키지맙시다. 인천 동암부대찌개 맛집(청기와)
인천 동암역 먹자골목에 위치한 청기와
저녁엔 고기 점심엔 부대찌개 김치찌개로
유명한집이다 양도많고 밑반찬도 깔끔하다
#부대찌개#인천#동암#청기와#맛집#인천맛집#동암맛집#부대찌개맛집#
@user-us1tl3db9p : ㅡ
#명품꽃갈비살#녹는다녹아#된찌도맛나
#소면으로마무리#입이즐겁네#다욧은낼부터
#월급날은한우쥬#포항맛집#한우맛집#shorts
[시사기획 창] 분단을 건너는 아이들 / KBS 2021.03.28.
목숨을 걸고 남한으로 온 탈북민은 현재까지 약 3만 3천여 명. 그런데 통일부 조사에 따르면 이들 탈북민 중에 극단적 선택의 충동을 경험한 사람은 10명 중 8명에 달한다. 탈북 청소년들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입국한 연령대와 재북 시절 학력, 부모 동반 여부 등에 따라 경험이나 욕구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이다.
'미리 온 통일'이라고 여겨지는 탈북 청소년들, 그들의 감춰졌던 삶을 취재진이 어렵게 설득해 카메라에 담았다. 이들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함께 살아가야 할 통일 공동체를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방법을 모색했다.
■ 사라진 탈북 청소년들…누구도 보듬지 못했다
취재진은 우선, 부모 등 직계가족이 없이 남한으로 온 '무연고 탈북 청소년'의 삶에 집중했다. 그 과정에서 지난 2015년 6월 이른바 '대기 귀순'으로 화제가 됐던 19살 북한 병사, 이국철(가명)의 삶을 추적했다. 하나원에서 나온 뒤 국내와 해외를 오갔던 이국철. 절도 등 각종 범죄를 저지르고 끝내 극단적인 선택을 한 이 소년의 삶은 과연 어디서부터 잘못됐을까.
18년 전, 남한에 온 지 1년 반 만에 '자살 같은 죽음'을 맞이한 꽃제비 소년 최현의 안타까운 삶도 재구성했다. 사촌 형제와 함께 남한에 왔음에도 부산과 제주로 따로따로 배치한 무심한 정책 집행과, 19살 소년을 북쪽에서의 최종 학력에 맞춰 초등학교 6학년으로 편입하라고 하는 기계적 학벌주의 등에 지쳐 생을 마감한 현이의 이야기는 단지 과거의 이야기만은 아니다.
현이와 같이 꽃제비 생활을 하다 먼저 탈북한 엄마를 만나기 위해 17살에 남한으로 온 32살 홍성진 씨. 하지만 어머니는 탈북 과정에서 만난 중국인 남편과 재혼해 새로운 가정을 꾸린 상태였다. 중학교 졸업 후 첫 일자리였던 주유소에서 유혹이 시작됐고, 20대 꽃다운 청춘을 교도소에서 보낼 수밖에 없었던 그가 탈북 청소년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고 한다.
■ 제3국 출생자 늘어나는데…"우리 한국인 맞습니까"
탈북 청소년들은 북한 출생만 있는 건 아니다. 전문가들은 최근 10년 사이 중국 등 제3국에서 출생한 탈북 청소년의 증가 추세가 심상치 않다고 말한다. 실제로 국내 초·중·고등학교에 다니는 탈북 청소년 중 62.8%가 중국 등 제3국에서 왔다.
주로 탈북 여성과 중국 남성 사이에서 태어난 이들은 한국 입국 후 국적을 취득한다. 하지만 탈북민 엄마의 북송과 한국 입국으로 인한 이별 경험, 한국어 미숙, 정체성 문제 등으로 국내 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호소한다. 상황이 이렇지만, 이들은 정부로부터 북한 출생 탈북 청소년과 같은 보호와 지원을 받지 못한다. 현행법상 '탈북민'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기 때문이다.
정부의 공식 통계조차 없는 이들의 이야기를 들어보기 위해 취재진은 탈북민 엄마와 중국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나 15살에 한국으로 온 동빈이를 통해 제3국 탈북 청소년이 일반적으로 겪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들어봤다.
탈북민 엄마와의 단란한 한국 생활을 꿈꾸며 입국했지만 2개월 만에 고아가 되어버린 유림이의 한국 정착 이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149327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Lee와당 : "분단이 만들어 낸 잘못을 현이 같은 아이들이 대신 그 죄를 받은 게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이 대사에서 울컥했습니다. 너무나 옳고 너무나 슬픈 말씀입니다. 힘든 일상을 보내고 있는 새터민 아이들에게 도움이 될 방법이 없을까요.
Ahn Sung Sook : 제발 이런가슴아픈 일 다시는 일어나지않기를 기원합니다
우리함께 모든일 모든면에서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숨쉬고 행동으로 옮겨 꼭 성공하세요
짝물 : 탈북민의 이후 삶에 대해 미처 몰랐던 점을 알려주는 좋은 다큐네요. 우리나라로 건너온 동포인만큼, 적응할 수 있게 우리가 지금보다 더 노력해야할 점이 보입니다
너에게 난 : 우리 국민들도 탈북민을 배척해선 안 되겠지만 탈북민도 처음 접한 민주주의 나라에 살아가려면 혼돈과 괴리감으로 힘들어도 목숨걸고 온 만큼 스스로도 마음을 강하게 가지고 살아야 한다 남한 생활에 적응하려고 노력 하지 않으면 이방인으로 살아갈수 밖에 없다
유기쁨 : 안타깝고~~
가슴 아프다~~
양 많다고 3명이서 2인분 시키지맙시다. 인천 동암부대찌개 맛집(청기와)
인천 동암역 먹자골목에 위치한 청기와
저녁엔 고기 점심엔 부대찌개 김치찌개로
유명한집이다 양도많고 밑반찬도 깔끔하다
#부대찌개#인천#동암#청기와#맛집#인천맛집#동암맛집#부대찌개맛집#
@user-us1tl3db9p : ㅡ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